ISA 계좌 추천 포스팅을 통해 다양한 ISA 옵션을 비교하고, 각각의 장단점을 분석하여 여러분의 재정 목표와 장기 저축 계획에 맞는 최적의 선택을 할 수 있도록 도와드립니다. 기초 부터 전문가 수준까지, 모든 단계에서 이웃님들과 함께 합니다.
포스팅을 읽기 전 시간이 매우 바쁜 이웃님들께서는 파란색으로 강조된 텍스트만 보셔도 1분 이면 ISA 계좌 추천 포스팅을 속독 하실 수 있어요!
[목차여기]
ISA 계좌 추천 포스팅을 작성하는 이유
지난 포스팅에서는 IRP 절세 계좌에 대해 다루었다면, 이번 포스팅에서는 절세 계좌 3총사 중 막내이지만 둘째의 자리까지 치고 올라온 ISA 계좌에 관해 설명해 드리는 포스팅을 설명해 드리려고 합니다. 특히 ISA 계좌 추천을 강조하기 위해 일반 계좌와 비교하여 혜택을 설명해 드릴 예정이니 이웃님들께서는 오늘 설명해 드리는 정보만 빠르게 훑어보시면 좋을 것 같아요!
절세 계좌 필수 상품 ISA 계좌 추천
ISA 계좌는 indiviual Savings Account의 약자로 우리말로 번역하면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를 말합니다. 정부에서 개인 자산 형성을 돕기 위한 계좌로 ISA 계좌 하나만 있으면 주식, 펀드, ETF, ELS, 채권 등 다양한 금융 상품에 투자할 수 있고 막대한 절세 혜택까지 주기 때문에 무조건 개설해야 하는 통장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러면 본격적인 ISA 계좌 추천을 위해 간단하게 종류를 살펴보겠습니다.
ISA 계좌 종류
ISA 계좌는 일임형, 신탁형, 중개형 이렇게 3가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어요. 3가지 유형에 대해 모두 간단하게 설명해 드릴 예정이지만 저희는 중개형 ISA 유형만 알고 계시면 되겠습니다.
1) 일임형
모델 포트폴리오를 활용하여 ETF와 펀드 등에 투자하는 ISA 유형이에요. 투자 전문가에게 완전히 일임하여 계좌를 운용하는 상품으로 증권사와 은행 모두에서 운용하고 있습니다. 투자 전문가가 운용하기에 연 0.1~0.5% 수준의 높은 운용 보수를 납부해야하기에 추천 하지 않는 유형이 되겠습니다.
2) 신탁형
고객이 직접 투자 상품을 선택 후 운용을 지시하는 상품으로 예금, 펀드, 리츠, RP, ELS, ETF, ETN 등 다양한 금융 상품에 투자할 수 있는 계좌 유형입니다. 고객이 직접 상품을 선택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중개형과 동일하지만 지시를 은행에 맡기기 때문에 신탁 보수가 추가로 발생하는 단점 있습니다.
3) 중개형
고객이 직접 투자상품을 선택하고 자유롭게 운용하는 상품으로 국내 주식, 채권, 리츠, ETN, ETF, 펀드, RP 등 다양한 금융 상품에 투자 및 운용을 할 수 있습니다. 투자 상품별 보수 및 수수료만 부과되는 방식이고 다양한 상품을 직접 운용한다는 점에서 최근 대다수의 개인 투자자들이 운용하는 계좌가 되겠습니다.
ISA 계좌 정리
ISA 계좌는 만 19세 이상이라면 소득 상관없이 누구나 가입할 수 있으며, 만약 아르바이트 등으로 인해 소득이 발생할 경우 만 15세 이상부터도 가입할 수 있는 계좌입니다. 은행, 증권사를 포함하여 전체 금융 기관을 통틀어 1인 1계좌만 개설할 수 있으며, 가입 시 최소 가입 기간은 3년으로 만기 3개월 전부터 ISA 계좌의 만기를 연장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최소 3년의 만기 기간이 있는 만큼 중도 해지 시 이어서 설명해 드릴 세제 혜택을 받을 수 없으니 이 부분은 주의해 주시면 좋을 것 같아요.
ISA 가입 유형은 일반형, 서민형, 농어민 형으로 구분되는데, 만약 본인이 서민형 ISA 계좌나 농어민 형 ISA 계좌에 가입이 가능할 경우 일반형과 비교했을 때 200만원이 늘어난 400만원의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비과세 한도 초과 시 9.9%의 과세가 부과되는 점도 확인해 참고해 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마지막으로 만기 해지 시 연금 계좌로 이체하면 이체 금액의 10%(최대 300만원)에 대해 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으며, ISA 계좌의 납입 한도는 연간 2천만원 최대 1억권까지 가능하고 미불입 한도는 차년도로 이월이 가능하니 이 부분도 체크해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ISA 계좌 추천 이유 1 : 세제 혜택
사실 위에서 설명해 드린 ISA 계좌 요약 정리를 이해하지 못하셨어도, 이번 카테고리만 이해해도 충분한 만큼 조금만 집중해 주시면 좋을 것 같아요! ISA 계좌의 세제 혜택을 비교하기 위해 일반 계좌, ISA 일반형 계좌, ISA 서민형 계좌(농어촌도 동일)의 가상 수익률을 시뮬레이션해 보겠습니다.
ISA 계좌를 통해 매매차익이 400만원이 발생했을 때 각각의 계좌에서 내야 하는 세금을 CHATGPT를 통해 빠르게 계산해 보겠습니다.
ISA 서민 계좌를 이용했을 경우 일반 계좌를 이용했을 경우와 비교 시 61만 6천원의 세제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이 정도 금액의 차이라면 ISA 계좌를 필수적으로 이용해야 할 것 같은데, ISA 계좌의 혜택은 더 남아 있습니다!
ISA 계좌 추천 이유 2 : 과세 이연 및 손익 통산
과세 인연 및 손익 통산은 IRP 계좌를 추천했을 때 설명을 해드렸지만, 확실한 비교를 위해 예시를 들어 설명해 보겠습니다. 이번에도 일반 계좌, ISA 일반 계좌, ISA 서민 계좌를 사용하였고 A주식은 1,000만원의 이익을 B 주식은 700만원의 손해가 발생했을 경우 계좌별 납부해야하는 세금을 CHATGPT를 통해 빠르게 계산해 보겠습니다.
일반 계좌를 이용한다면 A주식의 수익을 고려하여 1,540,000원의 세금을 납부해야 하며, ISA 일반 계좌를 이용한다면 손익 통산 후 300만원의 금액에 대해 200만원은 비과세로 계산되고 100만원에 대해 9.9%의 세금이 계산되어 99,000원 세금을 납부하면 되며, ISA 서민 계좌를 사용한다면 손익 통산 후 300만원의 금액 전체에 대해 비과세 처리되어 0원의 세금을 납부하면 되겠습니다.
이렇게 손익 통산의 개념과 세제 혜택의 개념을 합쳐서 다시 계산해 보니 ISA 계좌의 혜택을 더 확실하게 알 수 있는 것 같습니다.
ISA 계좌 추천 이유 3 : 중도 인출 및 세액 공제
ISA 계좌의 의무 가입 기간은 3년이지만 원금 이하의 금액에 대해서는 횟수 제한 없이 자유롭게 인출할 수 있습니다. 이 부분은 IRP 계좌와 비교했을 때 큰 혜택이라고 생각합니다. 물론 인출한 금액의 한도는 다시 복원되지 않으니 이 부분은 운영 시 고려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요약 정리에서 간단하게 설명 드렸듯이 만기 해제 후 2개월 이내 연금저축 계좌로 만기 자금을 이전할 경우 납입 금액의 10%(최대 300만원)를 추가 세액 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만약 그 해 연금 저축 계좌와 IRP 계좌를 합쳐 900만원의 세액 공제를 받을 경우 300만원을 더해 1,200만원을 받을 수 있을 경우 세액 공제의 걱정은 없을 거라 생각합니다.
ISA 계좌 아쉬운 점
ISA 계좌의 경우 의무 보유 기간이 3년이고 3년 이내 중도 해제를 할 경우 가입 기간에 발생한 수익에 대해 15.4%의 일반과세가 적용되니 급하게 자금이 필요할 경우 해지보다는 원금에 대해 중도 인출을 하는 것을 권유해 드리겠습니다.
그리고 ISA 계좌의 특성상 해외 주식에 직접 투자는 제한되는 만큼 테슬라, 알파넷, 메타와 같은 유명 해외 주식의 직접 투자를 원하는 이웃님들께서는 일반 계좌를 이용하는 것을 권유하겠습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ISA 계좌는 계좌 만기 시 모든 자산을 매도하여 현금화해야 하는데 만약 중간에 매도를 원하는 것을 원하지 않는 이웃님들께서는 다른 절세 계좌는 일반 계좌를 이용하시는 걸 권유하겠습니다.
ISA 계좌 추천 포스팅을 마치며
오늘 소개해 드린 ISA 계좌 추천 포스팅은 유익하셨나요? 이제 제가 생각하는 다음 단계는 3가지 절세 계좌를 어떻게 운영하면 최고의 효율을 발휘할 수 있는지가 중요한 것 같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저희 부부의 상황을 예시로 들어 3가지 절세 절세 계좌를 운영할 때 게 운영하면 좋은지를 소개해 드리는 포스팅을 작성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잠시만요, 지난 시간에 작성한 IRP 계좌 추천 한 번에 정리하기 포스팅이 궁금하시다면?
혹시, 지지난 시간에 작성한 연금 저축 절세 계좌 3분 정리 포스팅이 궁금하시다면?
'Financial Story > 연금저축계좌 포트폴리오' 카테고리의 다른 글
IRP 계좌 추천 한 번에 정리하기 (feat 절세 계좌 2탄) (0) | 2024.04.01 |
---|---|
연금저축 절세 계좌 3분 정리 (0) | 2024.03.30 |
연금저축계좌 추천 하는 이유 5분 정리 (0) | 2024.03.23 |
연금저축계좌 2월 ETF 포트폴리오 (0) | 2022.02.17 |
연금저축펀드 ETF 포트폴리오 (시작하기 앞서서) (0) | 2022.02.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