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lanner Story

블로그 포스팅 시 주의해야 하는 점

by 샤를리우스 2021. 8. 6.
반응형

안녕하세요. 올림픽의 열기가 최고조에 이른 저녁 포스팅을 쓰고 있는 샤를입니다.

오늘은 저의 지난 3년의 경험을 바탕으로 블로그 포스팅 시 주의해야 하는 점을 적어보려고 합니다.

 

 

1. 너무 많은 카테고리를 사용하기

이전 회사 동료의 경험 사례를 이야기해보겠습니다. 회사 동료의 경우 다방면에 재능이 있다 보니 블로그 운영시 5개의 카테고리를 사용했습니다. 5개의 카테고리를 운영함으로써 단시간에 블로그를 성장시키려고 하였지만 약 4달이 지난 뒤 네이버 블로그 기준 일일 방문자수가 200명 정도밖에 성장하지 않았고 결국 블로그를 접고 말았습니다. 네이버와 티스토리 블로그 모두 공통적으로 추구하는 방향성이 있다면 블로그의 고품질화가 되겠습니다. 블로그의 고품질을 판단하는 기준 중 가장 첫 번째 기준은 카테고리의 전문성을 평가하는 것인데 블로그 카테고리를 너무 많이 사용하다 보면 블로그의 전문성이 없다고 판단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만약 다양한 카테고리의 블로그를 운영하고 싶으시다면 한 개가 아닌 복수개의 블로그를 만든 뒤 2~3개의 카테고리를 운영하는 것을 권유드리겠습니다. (참고로 저의 이전 네이버 블로그의 경우 3가지의 큰 카테고리를 사용함으로써 좋은 효과를 거둘 수 있었습니다.)

 

2. 너무 단시간에 포스팅을 하지 말자

블로그를 운영하는 분들이라면 기본적으로 글쓰기 스킬은 가지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글을 빠르게 작성하다 보니 2~3시간 만에 포스팅을 3~4개씩 작성하는 분들이 있는데 이런 식으로 블로그를 운영하실 경우 아까운 에너지만 낭비하는 상황이 벌어질 수 있습니다. 이유는 네이버, 티스토리 블로그 모두 이런 행위에 대해서 자칫 글쓰기 봇으로 오해할 수 있고 오해하는 과정에서 자신의 블로그가 어뷰징 블로그로 전락할 수도 있습니다. 블로그의 경우 하루에 1개 또는 2개를 작성하는 것을 권장드리며 포스팅의 주기의 경우 5~6시간 이상 두고 글을 쓰는 것을 추천합니다. 저 같은 경우 네이버 블로그를 운영 시 평일은 1개 주말은 2개의 포스팅을 작성했으며 주말 포스팅의 경우 오전 1개, 오후 1개를 작성했었습니다. 

 

3. 하지 말아야 하는 컨텐츠는 사용하지 말자

하지 말아야하는 대표적인 콘텐츠를 말씀드리면 성인물이나 도박물 그리고 불법성이 강한 콘텐츠가 되겠습니다. 특히 블로그를 운영하다 보면 쪽지나 메일로 해당 콘텐츠에 대한 광고성 포스팅을 자주 접하실 수 있습니다. 콘텐츠에 들어가는 사진과 내용 키워드까지 모두 제공해 주고 한 건당 포스팅 비용을 20~30만 원이나 제공되는 만큼 유혹에 이끌리 수도 있지만 해당 포스팅을 게시하는 순간 그동안 포스팅을 위해 노력한 시간이 허무하게 느껴질 정도로 망가지게 됩니다. 아무리 돈이 급하셔도 해당 콘텐츠를 활용한 포스팅은 하시면 안 되겠습니다. 추가로 해당 콘텐츠의 경우 포스팅의 중반부나 후반부에 특정 링크로 이동시키는 경우가 있는데 최악의 경우 블로그가 영구 정지가 되는 케이스도 있으니 주의 부탁드리겠습니다.

 

4. 극심한 키워드 도배

키워드의 경우 블로그 포스팅에서 중요한 요소라고 생각됩니다. 하지만 과도한 키워드의 경우 오히려 블로그의 품질을 떨어트리고 글을 읽을 때 가독성을 떨어트릴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신촌 맛집이라는 키워드를 노출시키기 위해 글의 시작부 중반부 후반부에 신촌 맛집이라는 키워드를 수십 개 사용하는 행위는 오히려 어뷰징 블로그로 오해를 받아 노출이 되지 않는 지름길이 될 수도 있습니다. 저 같은 경우 1,500자 기준 네이버 포스팅의 경우 5~7개의 키워드를 사용했었는데 가끔 처음 블로그를 운영하는 분들의 포스팅을 확인할 경우 20~30개가 넘는 키워드를 사용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결과가 좋지 않음 역시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적당히 문맥에 맞는 키워드 사용을 권유드리겠습니다.

 

오늘 포스팅한 블로그 포스팅시 주의해야 할 점은 어떠셨나요?

사실 작성해야하는 내용이 너무 많지만 내용 정리와 피곤함이 몰려온 관계로 오늘은 이만 글을 마치고 내일 아침 일찍 최고의 컨디션으로 포스팅을 작성하도록 하겠습니다.  

반응형

댓글